왜 블로그를 만들고 싶은가?
글을 쓰는 목적이 무엇인가?
블로그를 시작하기 전에 반드시 이 질문에 스스로 명확한 답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목적에 따라 사용되는 도구가 달라지기 때문이죠.
단순히 나를 위해 지식을 기록
할 땐 notion, tana 같이 기록이 간편한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나의 기록 내용을 공유할 땐 또 간편하게 웹 링크를 건네주기만 하면 되죠.
블로그 플랫폼은 이 도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불편하고 관리에 시간을 많이 쏟아야 합니다.
목적에 맞지 않는 도구는 결국 손해를 감수해야 합니다.
좋습니다. 만약 나 같이 삽질한 사람에게도 도움을 주고 싶을
마음이 생긴다면 블로그는 너무 좋은 도구입니다.
플랫폼 브랜드를 통해 검색엔진에 쉽게 노출될 수 있고 글을 작성하기도 좋습니다.
플랫폼 별로 장단점을 아래와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목적에 맞게 여러 플랫폼을 쓸 수도 있겠죠!
플랫폼 | 장점 | 단점 |
---|---|---|
tistory | 개발자라면 입맛에 맞게 쉽게 커스터마이징(+ 광고)할 수 있다. | 자유로운만큼 블로그 운영에 꽤나 손이 간다. |
velog | 유동 인구가 많아서 글을 잘 쓰면 많은 사람이 쉽게 접할 수 있다. | 개인이 운영을 하기에 기능 확장에 느리고 장애에 크리틱컬할 수 있다. |
brunch | 브런치북을 통해서 '책'을 출판하는 감성이 있다. | 코드 하이라이팅을 지원하지 않기에 github gist 같은 외부 툴을 활용해야 한다. |
medium | 글로벌 플랫폼답게 전체적으로 완성도가 높다. | 브런치처럼 출판물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
github | 오픈소스 공식문서같이 포멀한 느낌을 줄 수 있다. | UI가 고지식하고 markdown 기반으로 글을 써야 하는게 불편할 수 있다. |
여기서 tistory의 커스터마이징으로도 성이 안찬다면 오픈소스 블로그 템플릿이라는 선택지도 있습니다.
하지만 엄청난 고난을 감수할 각오를 갖고서 시작해야 합니다.
템플릿은 틀만 제공해줄 뿐 결국 직접 SEO 최적화를 해야하고 장인정신을 갖고 한땀 한땀 유지보수해가야 합니다.
괜히 수 많은 블로그들이 이사 가는 것이 아닙니다...
그저 깃헙 잔디 때문에 블로그 레포를 운영하려 한다면 정말 말리고 싶습니다.. 사실 아무도 너의 잔디에 관심을 갖지 않아..
저의 경우는 개인 브랜드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FrontEnd 개발자로써 자신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수단은 블로그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야 블로그에 애정을 갖고 꾸준히 혼을 갈아 넣을 수 있겠죠?
어떻게 보면 저의 블로그를 제작하기 위한 과정이네요.
notion -> 개인 블로그 실패 -> velog -> 다시 개인 블로그
기술 스택 채택하기
서론이 길었습니다.
- NextJS
- Typescript
- tailwindCSS
- next-mdx-remote
글 작성 규칙 정하기
하루키 규칙
한번에 많은 글을 찍어내려 하지않길 바랍니다. 번아웃의 지름길이고
꾸준히
일관성이 있는 글
맺으면서
이제 막 블로그를 시작하려는 초짜
Next.js로 블로그 만들기